
“선생님은 몇 살까지 학교에 계시나요?”
학부모나 교직 준비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중 하나입니다.
하지만 교사도 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, 일반 회사와는 다른 정년 규정이 적용됩니다.
특히 정년 연령은 퇴직 연도, 공무원 유형, 근속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정확한 정보가 필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초·중등 교원(국·공립) 기준 정년퇴직 연령과 실제 퇴직 시점, 현장 적용 사례 및 자주 묻는 질문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교사 정년퇴직 연령은 몇 세?
🔹 공무원으로서의 교원 정년 기준
교사는 국가공무원법에 따른 일반직 공무원 중 교육공무원에 해당하며,
정년은 공무원 전체와 동일하게 만 62세입니다.
- 법적 근거: 「교육공무원법」 제40조
- 국가공무원법 제74조에도 동일 기준 명시
✅ 즉, 교사의 법적 정년퇴직 연령은 만 62세, 일반 공무원과 동일합니다.
실제 퇴직 시점은 언제?
1963년생 교사는 2025년 12월 31일 이전에 만 62세가 되므로,
2025학년도 1학기 또는 2학기 중 해당 시점이 포함될 경우
2026년 2월 28일 또는 2025년 8월 31일에 퇴직합니다.
🔸 실제 퇴직일은 시·도교육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, 일반적으로 학기 종료일이 적용됩니다.

교사 정년퇴직 연도 계산법
| 생년월일 | 만 62세 도래일 | 퇴직 연도 | 퇴직일 예시 | 
| 1962년 5월생 | 2024년 5월 | 2024년 | 2024.8.31 | 
| 1962년 12월생 | 2024년 12월 | 2025년 | 2025.2.28 | 
| 1963년생 | 2025년 | 2026년 | 2026.2.28 | 
퇴직일은 보통 2월 말(정규학기 종료일)이나 8월 말(1학기 종료일) 기준
자주 묻는 질문
Q1. 만 62세가 되는 해에 바로 퇴직하나요?
→ 아니요. 정년 도래 시점이 속한 학기의 종료일이 퇴직일입니다.
Q2. 교장·교감도 동일한 정년이 적용되나요?
→ 네. 직급과 무관하게 모든 교육공무원은 만 62세 정년입니다.
Q3. 사립학교 교사의 정년은 다른가요?
→ 일부 사립학교는 자체 정관이나 취업규칙으로 만 65세까지 연장 가능하지만, 일반적으로 만 62세 기준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.
Q4. 정년 연장 가능성은 없나요?
→ 현재는 교육공무원법상 명시된 정년은 만 62세이며, 정년 연장은 공식적으로 검토되지 않고 있습니다. 다만 교육계 일부에서는 고령화에 따라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


마무리
교사는 일반 기업과 달리 학기 단위로 퇴직이 이루어지며, 법적 정년은 만 62세, 실제 퇴직 시점은 학기 종료일(2월 또는 8월)로 적용됩니다.
정확한 퇴직 시기 계산과 연금·퇴직금 설계를 위해서는 정년 도래일과 근속연수, 교육청 방침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.
특히 정년퇴직 예정자는 퇴직 전 최소 6개월 전부터 퇴직 준비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.
추천글
공무원 장기재직휴가, 2025년부터 최대 7일 유급휴가 가능
2025년 7월부터, 국가공무원 중 10년 이상 장기 근무자에게 유급 ‘장기재직휴가’가 다시 도입됩니다.이는 오랜 공직생활을 이어온 공무원에게 재충전의 시간을 제공하고, 사기 진작 및 이직 방
new.ho-doo.com
어린이집 교사의 근로자의 날 수당 지급은?
매년 5월 1일은 ‘근로자의 날’로, 많은 직장인들이 유급휴일로 하루를 쉽니다.하지만 어린이집 교사처럼 아이들을 돌봐야 하는 현장 직종에서는 이날도 평소처럼 출근해야 하는 경우가 적지
new.ho-doo.com
보육교사 1급 승급교육 정보와 급여 차이 정리
보육교사는 3급 → 2급 → 1급 순으로 자격이 올라가며, 1급은 경력과 전문성을 모두 인정받는 최고 등급입니다.특히 1급 승급 시에는 급여, 승진 기회, 보육 정책 참여 등 여러 면에서 혜택이 달
new.ho-doo.com
'정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일 언제? (2) | 2025.07.30 | 
|---|---|
|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생활지원사 급여와 지원 조건 (3) | 2025.07.30 | 
| 퇴직금 계산방법, 정확하게 알고 받자! (1) | 2025.07.29 | 
| 재가복지센터 창업, 어떻게 시작할까? (2) | 2025.07.27 | 
| 경기도 긴급 냉방비 5만원 지급! 수급자·차상위계층 대상 자동 입금 (2) | 2025.07.27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