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교통비 사용 가능 여부 총정리
2025년 정부가 시행 중인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에게 1인당 최대 15만 원~45만 원(1차)을 지급해 소상공인 매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돕는 정책입니다.
그런데 소비쿠폰을 받은 뒤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이겁니다.
“택시 요금, 지하철, 버스 요금도 소비쿠폰으로 결제할 수 있나요?”
답부터 말씀드리면 일부 택시는 가능하지만, 버스나 지하철 요금은 불가능합니다.
아래에서 정확한 기준을 항목별로 정리해드립니다.
🚕 소비쿠폰 택시 요금: 일부 가능
✔ 개인택시
- 가능 조건: 해당 택시의 차고지가 소비쿠폰 사용 지역(기초지자체)이고,
 해당 지역의 소상공인으로 등록된 가맹점일 경우 사용 가능
✔ 법인택시
- 가능 조건: 법인택시 업체의 사업자등록지가 소비쿠폰 사용 지역이어야 하며,
 연매출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조건을 만족해야 사용 가능
※ 개인인지 법인인지 여부는 일반 소비자가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, 사용 전 기사님께 꼭 문의하세요.



🚍 버스·지하철 요금: 사용 불가
✖ 선불 교통카드 (티머니 등)
- 일반 카드에 탑재된 교통카드 기능은 충전된 잔액에서 자동 차감되므로, 소비쿠폰과는 연결되지 않습니다.
✖ 후불 교통카드
- 후불 결제는 카드 청구서에 합산되며, 소비쿠폰의 “카드 자동이체·지로 납부 등 불가 업종” 규정에 따라 사용이 제한됩니다.
지역사랑상품권형 소비쿠폰의 경우는?
소비쿠폰 중 지역사랑상품권(지류·모바일·카드형)을 받은 경우에는 택시가 해당 지역 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만 사용 가능합니다.
지역별 등록 여부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.

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카드에 티머니 기능이 있는데 결제해도 소비쿠폰에서 빠지지 않아요. 왜 그런가요?
→ 교통카드 결제는 선불 충전 잔액이나 후불 청구로 처리되며, 소비쿠폰은 일반 가맹점 결제에만 사용 가능합니다.
Q2. 모든 택시에서 사용할 수 있나요?
→ 아닙니다. 반드시 해당 택시가 소비쿠폰 사용 지역에 차고지(개인택시) 또는 사업장 주소(법인택시)가 있어야 하며, 소상공인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Q3. 카카오T 택시 앱으로 호출한 택시도 가능할까요?
→ 호출은 가능하나, 실제 요금 결제 시 소비쿠폰 카드 등록이 된 신용/체크카드 직접 결제 방식이어야 하며, 위 조건을 만족하는 택시일 경우에만 적용됩니다.
마무리 정리
소비쿠폰으로 택시는 조건부 가능, 지하철·버스는 불가
정확히 말하면, 지역 내 등록된 소상공인 택시에서만 결제 가능하고
교통카드 기능이나 대중교통 자동결제는 소비쿠폰과 연동되지 않습니다.
'정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민생회복 소비쿠폰, 정말 온라인에서 못 쓸까? (0) | 2025.07.24 | 
|---|---|
| 어르신들 스마트폰 없이 민생소비쿠폰 신청하는 법 (1) | 2025.07.23 | 
| 18세 이하 병원 방문 시 신분증 없을 때? 이렇게 확인하면 됩니다 (0) | 2025.07.22 | 
| 경기지역화폐로 소비쿠폰 충전 장점! (0) | 2025.07.20 | 
|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리신청 필요서류! (0) | 2025.07.19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