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온누리상품권 혜택과 신청 방법

by 정원23 2025. 7. 14.
반응형

온누리상품권-혜택-신청방법

 
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보호·육성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행하는 정부지원 상품권입니다.
전국 약 7천여 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온누리상품권 종류

구분 설명
지류형 종이형 상품권 (농협, 우체국 등 오프라인 구매만 가능)
디지털 온누리상품권 🆕 카드 + 모바일(QR결제)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앱 기반 상품권

온누리상품권 혜택

항목 내용
구매 할인 일반 소비자 구매 시 5~10% 할인 혜택 (월 최대 한도 내)
소득공제 지류형은 미적용, 카드형·모바일형은 30% 소득공제 가능
유효기간 지류형/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모두 5년
사용처 확대 온누리 가맹점 외에도 일부 전통상점가, 시장형 마트에서도 사용 가능
비정기 이벤트 명절/정부정책에 따라 특별 할인 또는 캐시백 행사 진행
 

사용 가능한 곳

  • 전국 전통시장 (서울 남대문·경동시장, 부산 자갈치시장 등)
  • 일부 시장형 슈퍼마켓
  • 온누리 가맹점 등록된 음식점, 제과점, 의류점 등
    ※ 사용 가능 여부는 온누리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

신청 및 구매 방법

지류형

  • 구매처: 전국 농협, 수협, 우체국, 신협, 새마을금고 등
  • 구매방법: 신분증 지참 후 창구 방문 → 할인 구매

디지털 온누리상품권 (카드형 + 모바일 통합)

  • 앱 설치: ‘디지털 온누리’ 전용 앱 또는 제휴 앱(비플제로페이 등)
  • 사용법: 앱 내에서 충전 → QR결제 또는 바코드 결제 사용
  • 소득공제: 결제금액의 30% 소득공제 적용
  • 추가 앱 예시: 비플제로페이, 체크페이, 페이코 등 일부 제휴 앱 연동

 

 

구매 한도 및 할인율 (2025년 기준)

구분 일반인 명절 기간(설, 추석 등)
할인율 최대 5% 최대 10%
월 구매 한도 100만 원 최대 200만 원
 

※ 정책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, 구매 시기마다 확인 필요

 

기타 정보

  • 법인·단체 구매 가능 (할인율 없음)
  • 모바일 상품권은 분실 걱정 없음, 간편하게 충전/결제 가능
  •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등록은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 (소상공인 대상)
 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