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    
    
    
  
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 보호·육성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행하는 정부지원 상품권입니다.
전국 약 7천여 개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온누리상품권 종류
| 구분 | 설명 | 
| 지류형 | 종이형 상품권 (농협, 우체국 등 오프라인 구매만 가능) | 
|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🆕 | 카드 + 모바일(QR결제) 기능이 통합된 하나의 앱 기반 상품권 | 

온누리상품권 혜택
| 항목 | 내용 | 
| 구매 할인 | 일반 소비자 구매 시 5~10% 할인 혜택 (월 최대 한도 내) | 
| 소득공제 | 지류형은 미적용, 카드형·모바일형은 30% 소득공제 가능 | 
| 유효기간 | 지류형/디지털 온누리상품권 모두 5년 | 
| 사용처 확대 | 온누리 가맹점 외에도 일부 전통상점가, 시장형 마트에서도 사용 가능 | 
| 비정기 이벤트 | 명절/정부정책에 따라 특별 할인 또는 캐시백 행사 진행 | 
사용 가능한 곳
- 전국 전통시장 (서울 남대문·경동시장, 부산 자갈치시장 등)
- 일부 시장형 슈퍼마켓
- 온누리 가맹점 등록된 음식점, 제과점, 의류점 등
 ※ 사용 가능 여부는 온누리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
신청 및 구매 방법
① 지류형
- 구매처: 전국 농협, 수협, 우체국, 신협, 새마을금고 등
- 구매방법: 신분증 지참 후 창구 방문 → 할인 구매
②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(카드형 + 모바일 통합)
- 앱 설치: ‘디지털 온누리’ 전용 앱 또는 제휴 앱(비플제로페이 등)
- 사용법: 앱 내에서 충전 → QR결제 또는 바코드 결제 사용
- 소득공제: 결제금액의 30% 소득공제 적용
- 추가 앱 예시: 비플제로페이, 체크페이, 페이코 등 일부 제휴 앱 연동
구매 한도 및 할인율 (2025년 기준)
| 구분 | 일반인 | 명절 기간(설, 추석 등) | 
| 할인율 | 최대 5% | 최대 10% | 
| 월 구매 한도 | 100만 원 | 최대 200만 원 | 
※ 정책에 따라 변동 가능하며, 구매 시기마다 확인 필요
기타 정보
- 법인·단체 구매 가능 (할인율 없음)
- 모바일 상품권은 분실 걱정 없음, 간편하게 충전/결제 가능
-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등록은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 (소상공인 대상)
반응형
    
    
    
  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다이소 직영점 vs 가맹점 차이와 찾는 방법 (0) | 2025.07.17 | 
|---|---|
| 이마트 와인행사! 3병 골라담기 20,000원 (0) | 2025.07.16 | 
| 채용건강검진 병원찾기 및 비용 (1) | 2025.07.14 | 
| 방문목욕 요양보호사 시급과 높은 이유 (1) | 2025.07.13 | 
| 삶은 계란 vs 구운 계란 vs 후라이, 가장 건강한 조리법은? (2) | 2025.07.12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