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2026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,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. 작년보다 290원 오른 금액이며, 인상률은 2.9%입니다.
이로 인해 월급, 주휴수당, 시간외수당까지 모두 달라졌기 때문에 꼭 체크해야 합니다.
어떻게 변하게 되는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!

최저시급 인상 내역
| 년도 | 최저시급 | 인상률 | 
| 2025년 | 10,030원 | 2.5% | 
| 2026년 | 10,320원 | 2.9% | 
✔ 연장·야간근무 시 1.5배 적용 → 시급 15,480원

2026년 기준 월급 계산 (209시간 기준)
- 최저월급: 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
- 실수령액은 약 190~200만 원 초반 (4대보험 공제 후)



주휴수당 계산법
-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에게 하루치 급여 추가 지급
- 예: 주 5일 × 8시간 근로자 → 주휴수당 82,560원



실제 사례로 이해하기
사례① 주 2일 알바
12시간/주 근무 → 주휴수당 없음 → 주급 약 123,840원 
사례② 야간근무 포함 정직원
기본급: 2,156,880원
야간수당: 약 743,040원
총 급여: 약 2,899,920원
자주 묻는 질문
Q1. 주휴수당 못 받는 경우도 있나요?
Q2. 최저시급보다 적게 받으면?
Q3. 연장이나 야간수당도 올라가나요?
Q4. 실습생, 인턴도 적용되나요?
가장 많이 묻는 질문(FAQ) 답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
👉 최저시급 FAQ 답변 바로보기
📎 유용한 계산기 링크



마무리 요약
2026년부터 최저임금 기준이 바뀌면서 알바생, 정규직, 고용주 모두 급여 기준 재정비가 필수입니다.
특히 주휴수당과 시간외수당 기준도 달라지니, 꼭 본인의 근로조건을 다시 확인해보세요.



추천 글
2026년 최저시급 월급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총정리
2026년 최저임금이 드디어 확정되었습니다. 시간당 10,320원. 290원 오른 금액으로, 인상률은 2.9%입니다. 얼핏 보면 소폭 상승처럼 느껴지지만, 월 수입, 주휴수당, 4대보험 납부액까지 영향을 미치
ymiie.com



'정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18세 국민연금 자동가입, 소득 없다면? (0) | 2025.07.11 | 
|---|---|
| 보수 원로 조갑제 프로필 (3) | 2025.07.11 | 
| 비즈플러스카드, 소상공인을 위한 1,000만 원 카드 발급 (1) | 2025.07.11 | 
|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프로필과 한미회담 요약 (0) | 2025.07.09 | 
| 대통령비서실 청년담당관 채용 총정리! 경력 안본다! (1) | 2025.07.07 | 
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